디자인 씽킹이란
- 공감의 과정을 통해 문제점을 찾아내고, 아이디어를 발산하고,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검증 과정을 거치는, 반복적 프로세스에 대한 방법론 및 사고방식
디자인 씽킹 프로세스
- 공감 - 문제 정의 - 아이디어 도출 - 프로토타이핑 - 테스팅
1. 공감
공감 프로세스
- 면담하기
- 관찰하기
- 경험하기
면담지 준비하기
- 순차적 경험 질문 : 어떤 순서로 행동하고 경험하는지 물어보자
- 감정 질문
- 이유 질문 : 행동 또는 감정에 대한 이유를 물어보자
- 또 질문 : “또…“라는 질문을 많이 하자
- 구체화 질문
관찰하기 | 모니터링
- 현장 중심 관찰 : 세상을 넓고 깊게 바라보기
관찰하기 | 쉐도잉
- 사람의 체험이나 행동을 그자리에서 관찰하기
관찰하기 | 맥락 질의법
-
현장에서 관찰 및 면담을 통해 대상자에 대한 이해를 하는 방법
-
맥락 질의법의 4가지 원칙
- 맥락 : 대상자의 작업환경에 대한 디테일을 관찰하라
- 파트너십 : 대상자를 공감하라
- 해석 : 연구자는 대상자에게 본인의 해석을 공유하라
- 포커스 : 핵심 목표 주제에서 벗어나지 마라
-
맥락 질의법 수행하기
- 준비하기, 기록하기
- 도제관계 모델 (Master-apprentice Model)
- 마스터(대상자)가 해당 업무환경에서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소리내어 말하게 한다
- 연구자는 견습생이 되어 중간중간 물어보면서 학습한다
-
소리내어 생각하기 (Think Aloud) 기법
- 병행식 : 과업을 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이야기 한다
- 회고식 : 단계별 과업을 끝내고 이야기한다
- 병행+회고 하이브리드
2. 문제정의
페르소나 만들물
- 페르소나 :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반응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만든 가상의 인물, 솔루션의 수혜자
POV 정의하기
- 페르소나의 관점에서 1개의 POV로 압축하자
- POV(Point of View)
- 페르소나는 누구인가?
- 페르소나가 원하는것은 무엇인가?
- 페르소나에게 그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?
HMW 정의하기
-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내기 위한 브레인스토밍 과정
- POV로 부터 파생되며 “수행 가능한 단위"로 정의
- 형식 : (우리는) 어떻게 ~~~ 할것 인가
고객여정 지도
3. 아이디어 도출
브레인스토밍
- 오즈본의 4원칙
- 비판금지
- 자유분방
- 질보다 양
- Idea 편승
어피니티 다이어그래밍 (친화도법)
- 수집한 데이터를 정리하는 방법
- 데이터에서 공통된 이슈/문제/필요성 등을 도출할 수 있음
- 요약하여 포스트잇에 기록, 유사한 테마, 토픽으로 그룹화
다양한 아이디어 도출 방법
- 의사결정 그리드 (긴급도, 중요도)
- 10+10 방법 (10개의 아이디어, 10개의 솔루션)
- 아이디어 평가 테이블 (점수 매기기)
- 아이디어를 컨셉으로 엮기
4. Prototype
스토리보드
- 스토리보드는 제품 사용의 환경, 절차, 니즈 충족 요소가 포함된다
- 스토리보딩 절차
- 스토리라인 만들기
- 메인 설정샷 그리기
- 핵심 아이디어의 전달을 위한 적절한 카메라 구도 설정 및 그리기
- 행동과 움직임 강조 처리하기
- 사람들에게 시연 후 피드백 받고 수정하기